
2025 자동차 정기검사 완벽 가이드|검사주기·비용·과태료·예약 꿀팁
검사유효기간을 놓치면 최대 30만 원 과태료까지! 교통안전공단 예약 방법, 검사소 선택 팁, 정기·종합검사 차이, 비용과 과태료 기준을 한 페이지로 정리했습니다.
자동차 정기검사란?
정기검사는 차량의 안전장치와 배출가스 상태를 점검하여 도로안전과 환경을 지키는 제도입니다. 자동차관리법 제43조에 따라 모든 차량은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하며, 미이행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
2025 검사주기 · 정기 vs 종합검사
검사주기
차량 구분 | 최초 검사 | 이후 검사주기 |
---|---|---|
자가용 승용차 | 신차 등록 4년 후 | 2년마다 |
영업용 승용차(택시) | 신차 등록 1년 후 | 매년 |
승합차(11인승 이상) | 신차 등록 1년 후 | 매년 |
화물·특수차 | 신차 등록 1년 후 | 매년 |
2025년부터 일부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은 환경부 종합검사 대상이 확대됩니다. 대기관리권역(서울·부산·대구 등)은 반드시 종합검사 대상 여부를 확인하세요.
정기검사 vs 종합검사
구분 | 정기검사 | 종합검사 |
---|---|---|
주관 | 국토교통부 | 환경부 |
검사항목 | 제동·조향·등화장치 등 안전항목 | 매연·배출가스 등 환경항목 |
대상 | 모든 차량 | 특정 지역/노후·고배출 차량 |
정기검사는 차량의 기본 안전성, 종합검사는 대기오염 저감 목적입니다. 일부 지역에서는 동시 진행됩니다.
비용 · 과태료
검사 비용(2025 기준, 지역별 상이)
차량 종류 | 정기검사 | 종합검사 |
---|---|---|
승용차 | 약 23,000원 | 약 50,000원 |
승합차 | 약 27,000원 | 약 53,000원 |
화물차 | 약 30,000원 | 약 56,000원 |
민간검사소는 지역별로 10~20% 차이가 있으니 예약 전 가격을 비교하고, 온라인 결제 할인도 확인하세요.
미이행 과태료
경과일수 | 과태료 금액 |
---|---|
1~30일 | 2만원 |
31~60일 | 3만원 |
61일 이상 | 최대 30만원 |
과태료는 매 3일마다 1만 원씩 추가되어 최대 30만 원까지 부과될 수 있으며, 장기 미필 운행 시 운행정지 명령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.
예약 절차 · 준비물
검사소 예약 방법
- ① 교통안전공단 홈페이지 접속
- ② “자동차검사 예약” 선택
- ③ 지역·검사소·날짜 선택 후 결제
- ④ 문자로 예약 확인서 수신 (검사예정일 30일 전부터 예약 가능)
야간·토요일 예약 가능 검사소가 있으니 일정에 맞춰 선택하세요.
검사소 선택 팁
- ✅ 교통안전공단 검사소: 결과 신뢰도 높음
- ⚙️ 민간검사소: 예약 여유, 대기 짧음
- 💡 일부 지역: ‘모바일 전자검사증명서’ 발급 가능
준비물
- 🪪 자동차등록증
- 🧾 자동차보험증명서
- 💳 결제수단(카드/간편결제)
필요 시 본인확인용 신분증 지참.
자주 묻는 질문(FAQ)
Q. 검사 기간을 놓치면 바로 과태료인가요?
A. 네. 유예 없이 과태료가 부과되므로 즉시 예약하세요.
Q. 타 지역에서도 검사 가능?
A. 가능합니다. 전국 공단/민간 검사소에서 예약·검사할 수 있습니다.
Q. 불합격 시 절차는?
A. 지정 기한 내 재검을 받아야 하며 재검 비용은 최초의 약 70% 수준입니다.
Q. 유효기간은 어디서 확인?
A. 공단 예약 시스템 차량번호 조회 또는 자동차등록증 우측 상단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시니어 일자리 급여지원 완벽 가이드|공공형·사회서비스형·인턴십·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5.10.05 |
---|---|
2025 신용회복 대상자 확인방법|토스·나이스 신용사면 조회 완벽 가이드 (0) | 2025.10.05 |
배드뱅크 2025 신청자격·감면율 총정리|장기연체자 신용회복 가이드 (0) | 2025.10.05 |
새도약기금 2025 확대 시행|지원 대상·감면율·신청 절차 총정리 (0) | 2025.10.04 |
셀프세차장 사용법 2025 — 초보도 쉽게 (0) | 2025.09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