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실손보험 가이드
2025 실손보험 전환, 지금이 골든타임일까?
5세대 실손 도입으로 전환 권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무턱대고 바꾸면 보장은 줄고 자기부담은 늘 수 있어요. 세대별 차이와 5세대 변화, 유지/전환 기준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1세대부터 4세대까지 실손보험 비교
INFO
세대별 보장 구조·자기부담·갱신/재가입 주기가 다릅니다. 아래 표로 한눈에 확인하세요.
항목 | 1세대 (~2009.09) |
2세대 (2009.10~2017.03) |
3세대 (2017.04~2021.06) |
4세대 (2021.07~현재) |
---|---|---|---|---|
보장 범위 | 가장 넓음 | 보장 통일화 | 비급여 분리 | 보장 슬림화 |
입원 자기부담금 | 0~5천 원 | 10~20% | 급여 10%, 비급여 20% | 급여 20%, 비급여 30% |
통원 자기부담금 | 3천~5천 원 | 공제 후 10~20% | 공제 후 10~20% | 급여 20%, 비급여 30% |
갱신 주기 | 3~5년 | 1~3년 | 1년 | 1년 |
재가입 주기 | 없음 | 없음 | 15년 | 5년 |
특이사항 | 외국 병원 보장 포함 | 외국 진료 제외 | 비급여 특약 분리 | 비급여 차등제 도입 |
연령대별 실손보험 전략
STRATEGY
나이·건강 리스크·병원 이용 패턴에 따라 전략이 달라집니다.
- 어린이·청소년: 상해 중심 보장, 학교 폭력 피해 특약 확인
- 20~30대: 보험료 저렴할 때 넓은 보장 확보
- 40~50대: 암·심장·뇌혈관 특약 포함 권장
- 60대+: 유병력자 실손 또는 노후실손 검토
5세대 실손보험, 이렇게 바뀝니다
UPDATE
2025년부터 5세대 실손이 도입되며, 비급여 중 일부 비중증 항목 보장 축소가 예정입니다. 도수치료·비급여 주사제·체외충격파 등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.
📌 주요 변경사항 요약
- ❗ 비급여 치료 보장 제외(도수치료, 주사제 등)
- 📈 비급여 자기부담률 증가(30% 이상)
- 🚫 1~3세대 신규 가입 불가
- 📉 전환 유도 정책 강화
→ 비급여 이용이 잦다면 5세대 전환이 불리할 수 있습니다.
지금 내 실손보험, 유지 or 전환?
DECISION
전환 권유가 와도 무조건 따를 필요는 없습니다. 아래 기준을 참고하세요.
- 1세대: 보험료 부담이 크다면 전환 고려
- 2세대: 지속 인상 중 → 4세대 전환 고려
- 3세대: 비급여 특약 유지 시 활용 가능
- 4세대: 유지하면서 5세대 대비
Q&A
Q1. 1세대 실손, 아직 유지해야 할까요?
A. 의료 이용이 많다면 유지가 유리할 수 있으나 보험료 부담이 과도하면 전환을 검토하세요.
Q2. 실손 여러 개 가입하면 중복 보장?
A. 불가합니다. 실손은 ‘1인 1보장’ 원칙입니다.
Q3. 유병력자도 가입 가능?
A. 네. 유병력자 실손 등 선택지가 있으며, 가입 기준이 비교적 완화되어 있습니다.
Q4. 비급여 이용이 많으면 4세대 유지?
A. 일반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. 특약 여부를 확인하세요.
Q5. 5세대 전환 시기는?
A. 2025년부터 순차 도입 예정이며 보험사별 사전 안내가 진행 중입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도수치료 실손청구 요건·서류·절차 총정리 (0) | 2025.09.11 |
---|---|
2025 간병인보험 가족간병 보상 가이드 (0) | 2025.09.11 |
2025 화성시 무상교통카드 신청방법 총정리 (0) | 2025.09.10 |
인천시 집중호우 피해 재난지원금 ‘우선 지급’ 안내 (2025) (0) | 2025.09.09 |
2025 전기차 전환지원금(보조금) 총정리 (0) | 2025.09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