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2025 부산 자격증 응시료 지원 총정리|신청방법·대상·금액
부산 청년들의 자격증 취득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구·군별로 응시료 실비 지원이 운영됩니다. 주민등록 거주 요건을 충족하면 연 1회 최대 10~20만원까지 지원(구·군별 상이) 받을 수 있어요. 아래에서 신청 경로와 조건을 확인하고 바로 진행하세요.
신청 방법
신청은 부산청년플랫폼 ‘청년정책한눈에’에서 가능합니다. 구·군별 자격증 응시료 지원사업 공고를 확인한 뒤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하고, 응시 확인서·영수증·주민등록초본 등 증빙을 첨부해 제출하세요.
접수는 구·군별로 운영되며,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. 선정 결과는 개별 문자로 통보되며, 매월 1~말일 접수분은 익월 10일경 지급됩니다(구·군별 상이).
대상 조건
부산 16개 구·군 중 해당 사업을 운영하는 자치구에 주민등록을 두고 일정 기간 이상 거주한 만 18~39세(구·군별 상이) 미취업·무사업자 청년이 주 대상입니다. 일부는 공공근로·단시간 근로 참여자도 허용됩니다.
자치구 | 연령 기준 | 거주 요건 | 기타 조건 |
---|---|---|---|
사상구 | 만 19~39세 | 1년 이상 | 미취업, 사업자 등록 無 |
부산진구 | 만 18~39세 | 1년 이상 | 미취업 및 미창업 |
서구 | 만 19~34세 | 1년 이상 | 미취업, 무사업자(공공근로 가능) |
동구 | 만 18~39세 | 1년 이상 | 미취업, 사업자 無(공공근로 가능) |
기타 구·군 | 지자체별 상이 | 지자체별 상이 | 지자체별 상이 |
지급 금액
유효기간
확인 방법
✅ Q&A
Q1. 다른 자격증도 추가로 응시하면 추가 지원이 가능한가요?
A1. 대부분 연 1회 한도로 1~2건까지 합산 신청이 가능한 구조입니다. 이후 응시는 지원되지 않으니 연간 계획을 세워 신청하세요.
Q2. 불합격해도 지원되나요?
A2. 네, 합격 여부와 무관하게 응시 사실과 영수증 등 증빙이 있으면 실비 지원이 가능합니다.
Q3. 공공근로 중인데 신청할 수 있나요?
A3. 일부 자치구는 공공근로·단시간 근로도 허용합니다. 단, 미취업·무사업자 요건 등 세부 기준은 각 공고를 확인하세요.
Q4. 어떤 시험이 대상인가요?
A4. 국가(기술·전문)·국가공인 자격, 어학, 한국사 등이 포함됩니다. 민간 자격과 수강료 등은 제외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