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서울시 주거급여 지원하기 — 신청 대상과 서류 안내

by 덕자언니 2025. 9. 18.

 

 

복지 · 주거

서울시 주거급여 지원하기 — 신청 대상과 서류 안내

저소득 가구의 임차료·수선비를 돕는 주거급여.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대상이 넓어졌습니다. 신청 대상(중위소득 47%), 제출 서류, 절차·상한액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
 

지원 대상·소득 기준

INFO

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인 가구(임차·자가 포함)가 대상입니다. 서울시 거주 및 주민등록 일치, 임차계약서 명시(임차), 자가 노후주택 수선유지급여 가능 등 조건을 확인하세요.

가구원 수 중위소득(2025) 47% 기준
1인 2,220,000원 약 1,043,400원
2인 3,650,000원 약 1,715,500원
3인 4,700,000원 약 2,209,000원
4인 5,700,000원 약 2,679,000원
5인 6,800,000원 약 3,196,000원

신청 절차

STEP

온라인(복지로) 또는 주민센터에서 접수 후 소득·재산 조사, 결과 통보, 지급 순으로 진행됩니다.

단계 내용
1. 접수 복지로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
2. 조사 소득·재산 확인 및 주거실태 확인
3. 심사 자격 판정(평균 4~6주)
4. 결과 문자/우편/시스템 알림으로 통보
5. 지급 임차료 계좌 입금 또는 수선유지급여 집행

필요 서류

DOCS
  • 신분증, 통장사본
  • 임대차계약서(임차), 주택 관련 증빙(자가)
  • 건강보험 납입증명서, 소득·재산 증빙
  • (상황별) 가족관계증명서, 금융내역, 차량등록증 등

 

서울시 지급 상한액(2025)

LIMIT

서울은 높은 임차료를 고려해 별도 상한을 적용합니다.

가구원 수 월 최대 지원액
1인 최대 320,000원
2인 최대 350,000원
3인 최대 420,000원
4인 최대 480,000원
5인 이상 최대 520,000원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어디서 신청하나요?

A. 복지로 온라인 또는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Q. 대상 기준은 무엇인가요?

A.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 가구로, 임차·자가 모두 해당될 수 있습니다.

Q. 서류는 무엇을 준비하나요?

A. 신분증, 통장사본, 임대차계약서(임차), 소득·재산 증빙 등이 필요합니다.

Q. 심사 기간은 얼마나 걸리나요?

A. 평균 4~6주 소요되며 결과는 문자·우편 등으로 통보됩니다.

#주거급여지원하기 #주거급여신청 #주거급여대상 #주거급여서류 #서울시주거급여 #복지로 #주거복지 #임차료지원 #수선유지급여 #복지정보

링크 확인일: 2025-09-18

서울시 주거급여 2025: 대상(중위소득 47%), 제출 서류, 신청 절차, 서울 상한액과 FAQ를 한 페이지로 정리. 복지로·서울시 공식 링크 제공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