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

대중교통 정액패스 2025 — 서울·수도권 가격·신청·사용범위 총정리

by 덕자언니 2025. 9. 8.

정책 지원금

대중교통 정액패스 2025 — 서울·수도권 가격·신청·사용범위 총정리

대중교통 정액패스(기후동행카드)는 지하철·버스를 30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월 정액 제도입니다. 서울은 62,000원(따릉이 미포함)·65,000원(따릉이 포함), 청년할인·단기권(1·2·3·5·7일)도 운영합니다. 신청은 모바일티머니 앱 또는 실물카드로 가능합니다. 

지원 대상 · 자격

INFO

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일부 도시까지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(성남·고양·과천 등, 2025년 추가 확장 공지). 가격·권종은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. 

대상 통근·통학·관광 등 누구나 가입 가능. 모바일(안드로이드 OS 12+) 또는 실물카드(iOS·디지털 약자) 선택. 
우선 지원 청년(만 19~39세) 월 55,000원(미포함)·58,000원(따릉이 포함) 등 청년할인 제공. 
특별 지원 단기권(1·2·3·5·7일) 운영: 5천~2만원으로 단기간 무제한 이용 가능. 
지급 형태 30일권: 62,000원(따릉이 미포함) / 65,000원(따릉이 포함). 권종별 가격 상이. 
사용처 서울 지하철·버스(심야 포함 일부 노선 제외), 일부 수도권 연계구간·공공자전거(따릉이). 사용지역은 순차 확대 중. 
예외 공항·광역급행 등 일부 노선 제외 가능, 사용지역 외 구간은 별도 요금 부과. 세부 제한은 공지 참조. 

신청 절차

DETAIL

앱 또는 카드 구입 후 권종 충전만 하면 즉시 사용 가능합니다(충전 당일 시작, 사전충전 불가). 

접수 모바일티머니 앱 설치→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발급→권종 선택/충전 ② iOS·디지털 약자는 실물카드 구매 후 등록. 
서류 본인인증(휴대폰)·결제수단 등록. 청년할인 등은 앱/가이드 안내에 따라 자격 확인.
심사 시스템 자동 검증(권종·유효기간·자격). 일부 제휴카드 후불형은 카드사 약관 적용. 
결과 충전 즉시 사용 가능(발권일 기준 1·2·3·5·7일권/30일권). 충전일 기준으로 기간 계산. 
지급 개찰구·단말기에 태그하여 무제한 이용. 사용지역 외 이동 시 별도 요금 부과.

체크리스트

TIP
  • 출퇴근 왕복 주 5일 3~4회 환승이면 30일권이 유리. 단기 체류는 1·2·3·5·7일권 선택. 
  • 안드로이드 NFC 사용 권장, iOS는 실물카드 권장. 분실 시 앱에서 정지/재발급 확인. 
  • 사용지역·제외 노선은 수시 확대/변경되므로 서울시 공지로 최신 범위 확인. 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가격은 얼마이며 따릉이 포함/미포함 차이는?

A. 30일권 기준 65,000원(따릉이 포함), 62,000원(미포함)입니다. 청년할인 등 권종별 가격은 공지표를 확인하세요.

Q. 관광객도 단기권을 살 수 있나요?

A. 1·2·3·5·7일 단기권으로 무제한 이용이 가능합니다. 충전한 그날부터 사용기간이 시작돼 사전충전은 불가합니다.

Q. 수도권 다른 도시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?

A. 사용지역은 계속 확대 중입니다. 성남·고양·과천 등 연계 구간이 추가됐으며 공지로 최신 범위를 확인하세요. 

Q. 아이폰도 앱으로 쓸 수 있나요?

A. iOS는 실물카드 이용을 권장합니다. 안드로이드는 NFC 기반 모바일카드가 지원됩니다. 

#대중교통정액패스 #기후동행카드 #서울교통정액권 #지하철버스무제한 #교통비절약

링크 확인일: 2025-09-08

대중교통 정액패스(기후동행카드) 2025 최신 가이드. 30일권 62,000원~65,000원, 청년할인·단기권(1·2·3·5·7일) 제공. 모바일티머니/실물카드로 신청·충전, 사용지역·제외노선·확대계획 공식 링크 수록.